본문 바로가기

난모르는이야기

[DIY] 엔진룸 청소하기

반응형

 

 

 

 

 

 

[DIY] 엔진룸 청소하기

 

 

 

 

 

 

자동차 타고다니면 외형 세차만하고 정작 자동차의 심장이라고 불리는 엔진이 있는 엔진룸은 청소를 안해주면

안돼겠다는 생각에 엔진룸 때 벗겨내기 다이를 하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얼마전에 여기저기 알아보고

엔진룸 크리닝할때 필요한 엔진크리너와 디테일링브러쉬를 구매를 했습니다.

 

 

 

 

 

 

 

 

엔진클리너를 뿌리고 디테일링 브러쉬로 꼼꼼히 구석구석 작업을 위해 온라인으로 구매를 했습니다.

 

 

 

 

 

 

 

 

구석구석 저의 무관심의 흔적이...

 

 

 

 

 

 

 

헉...

 

 

 

 

 

 

 

 

아... 진짜 찌든 흙먼지들이.... 맘이 다..아프다는...

 

 

 

 

 

 

 

 

 

보조 냉각수통에서 냉각수를 토해낸 구토물까지... ㅠ,.ㅠ

 

 

 

 

 

 

 

 

 

 

 

 

 

 

 

 

 

 

 

 

 

 

 

 

 

 

 

 

 

 

 

 

 

 

 

 

 

 

아...진짜 주기적으로 해줘야 겠다는...

 

 

 

 

 

 

 

사용전 충분히 흔들어준후 엔진클리너를 구석구석에 뿌려줬습니다. 스프레이 화학약품이

본인에게 오지 않도록 바람을 등지고 뿌려주세요. 톡쏘는 향이 아주 별로에요. ㅡ,.ㅡ

 

 

 

 

 

 

 

 

그런데 뿌리자 마자 바로 깨끗해지는 느낌... 이건 뭐지... 다른데서 확인해보니까 이거 뿌리면

거품같은게 생기는거 같던데...전혀 그런게 없었습니다. 그럼 브러쉬로 문지르는 의미가 없는데...

 

 

 

 

 

 

 

 

 

 

 

잠시 기다렸더니 위사진같이 건조되었습니다. 나름 깨끗함이 유지가 되는군요.

 

 

 

 

 

 

 

 

 

 

그리고 다시 한번 엔진크리너를 뿌려주었습니다. 그리고 브러쉬를 들고 여기저기 부비기 시작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디테일링 브러쉬가 크게 역할을 못하는거 같았어요...흠흠...

일반 흙먼지는 뿌리기만 해도 없어지고 이런건 걸래로 딱으면 되고 구석에낀

기름때는 워낙 벗겨지지가 않아 부드러운 디테일링 브러쉬로는 잘 벗겨지지가 않았습니다.

엔진때 벗겨낼때는 치솔같은게 더 괜찮을꺼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디테일랑 브러쉬는 엔진청소 보다는 차량내부 청소할때 더 유용하게 쓰였다는...

 

 

 

 

 

 

 

 

 

 

 

 

엔진크리너는 구석구석 흙먼지 빼는데는 좋은듯 합니다. 찌든 기름때 벅벅 문지르면 벗겨지는듯한데

그렇게 쉽게 벗겨지지는 않지만 그래도 엔진룸 청소해 보는데 크게 도움은 된듯합니다.

 

 

 

 

 

 

 

 

 

 

 

청소하고 나니 정말 깨끗해졌습니다. 맨위로 올라가서 전과 후 사진을 바로 보시면 얼마나

깔끔하게 청소 되었는지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ㅎㅎ ^^ 아웅 뿌듯하다.

근데 청소하고 집으로오는데 차 엔진에서 김이 모락모락나서 깝놀했다는....ㅡ,.ㅡ;;;

불난줄 알고 X줄 탔는데 보니까 엔진크리너를 너무 뿌려서 그게 엔진열로 증발하는거였어요.ㅎㅁ

 

 

 

 

 

 

 

 

 

차는 깨끗해지고 관리되도... 내손은.... 흐미....내 고운손이...

 

 

 

 

 

 

 

이상 킹스피드였습니다.

 

 

 

 

 

 

 

 

 

 

즐겁고 유익한 정보가 되었나요 ?

 

댓글은 좌측상단 작게 써진 comment 단어를 클릭해서 달아주시면됩니다.

제한 없이 아무나 쓰실수 있어요.^^

 

그대의~ 댓글과 클릭은 블로그의 정보의 질과 양을 높이는데 쓰여집니다.^^

 

손그림 클릭클릭~ 광고 클릭클릭~ 구독 클릭클릭 감사합니다.^^

 

자동차의 모든것 킹스피드 블로그 자주 찾아주세요.

 

 

 

 

 

 

 

 

 

 

반응형